안녕하세요 기사가자입니다. 오늘은 2020년도 3, 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요약입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3
균열발생 시 보강공법: 강재앵커공법, 단면증대공법, 탄소섬유시트공법
매입형 합성기둥: 강구조물 주위에 철근배근을 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 되어 일체가 되도록 한 것으로서, 초고층 구조물 하층부의 복합구조로 많이 채택되는 구조
<탈수공법>
페이퍼 드레인 공법: 모래 대신 합성수지로 된 카드보드를 지반에 삽입하여 탈수하는 지반개량공법
생석회 말뚝 공법: 지반 내에 생석회에 의한 말뚝을 설치하여 흙을 고결화시켜 연약지반의 강화를 도모하는 공법
에폭시: 석재가 깨진 경우 접착하는 접착제
습식공법: 화재 발생 시 강재의 온도상승 및 강도저하에 의해 건물이 붕괴되지 않도록 강재 주위를 내화재료로 피복
공법의 종류와 재료: 타설공법-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뿜칠공법-암면, 플라스터/미장공법-철망 펄라이트, 철망모르타르/조적공법-돌, 벽돌, 블록
<벽면적 1 제곱 m당 벽돌 쌓기 량>
0.5B: 75장, 1.0B: 149장, 1.5B: 224장, 2.0B: 298장
할증률 - 붉은 벽돌:3%, 시멘트 벽돌:5%
Metal Lath: 얇은 철판에 자름 금을 내어 당겨 늘린 것
Punching Metal: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 것
히빙 파괴 방지대책: 흙막이벽의 근입장을 증가
보일링 파괴 방지대책: 배수공법을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저하
<VE의 사고방식>
1. 자유로운 발상
2. 기능 중심의 시공방식
3. 사용자 중심의 사고
4. 조직적이고 순서화된 활동
<ALC 제조를 위한 주재료>
- 주재료: 규사 생석회
- 기포 제조방법: 발포제를 넣고 고온, 고압 하에서 양생
<도장공사-유성니스>
재료: 건성유, 희석제
과정: 바탕처리, 눈 먹임, 색올림, 색올림, 왁스 문지름
LCC(Life Cycle Cost): 건축물의 초기단계에서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과 제비용
VE(Value Engineering):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 품질을 보장하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사방법
<백화현상 방지 대책>
1. 흡수율이 작은 소성이 잘된 벽돌 사용
2. 줄눈모르타르에 방수제를 혼합
3. 벽체 표면에 발수제 첨가 및 도포
4. 처마 또는 차양의 설치로 빗물 차단
<레미콘 현장 선정 고려사항>
1.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및 배출 시간
2. 콘크리트 제조능력
3. 레미콘 운반차 대수
<콘크리트로 마감된 옥상에 시트방수>
고른 모르타르, 시트방수, 보호모르타르, 무근콘크리트, 목재 데크
20-4
보링의 종류: 오거 보링, 수세식 보링, 회전식 보링
CM for Fee: 발주자와 하도급업체가 직접 계약을 체결하고 CM은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여 약정된 보수만을 발주자에게 수령하는 형태
CM at Risk: 하도급업체와 CM이 원도급자 입장으로 발주자의 직접계약을 체결하며 공사의 원가 공정 품질을 직접 관리하여 CM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형태
<히스토그램 작성순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여 범위를 구한다, 구간폭을 정한다, 도수분포도를 작성한다,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히스토그램을 규격값과 대조하여 안정상태인지 검토한다.
기둥축소현상: 초고층 건축 시 기둥에 발생되는 축소변위
원인: 내외부의 기둥구조가 다른 경우, 기둥재료의 재질 및 응력 차이
문제점: 기둥의 축소변위 발생, 기둥의 변형 및 조립불량, 창호재의 변형 및 조립불량
철골주각부: 고정주각, 핀주각, 매입형 주각
<매스콘크리트 냉각 방법>
프리쿨링: 콘크리트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파이프쿨링: 콘크리트 타설 전에 파이프를 배관하여 냉각수나 찬공기를 순환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조적조 블록벽체의 습기침투 원인
1.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부족
2. 모르타르 바름의 신축 및 들뜨기
3. 온도 및 습기에 의한 재료의 신축성
4. 이질재와 접합부 불완전 시공
<바다 모래 골재 사용 시 철근 부식에 대한 방청 조치>
1. 철근 표면에 아연도금 처리
2. 골재에 제염제 혼입
3.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4. 에폭시 코팅 철근 사용
그루브 용접: 한쪽 또는 양쪽 부재의 끝을 용접이 양호하게 될 수 있도록 끝단면을 비스듬히 절단하여 용접하는 방법
필릿(Fillet) 용접:두 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접합한 후 2장의 판재를 겹치거나 T자형, 십자형의 교차부를 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접합부를 용접하는 방법
기초: 건축물의 최하부에서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구조부
지정: 기초판을 지지하기 위해서 그 아래에 설치하는 버림 콘크리트, 잡석, 말뚝 등
시어커넥터(Shear Connector): 합성부재의 두 가지 다른 재료 사이의 전단력을 전달하도록 강재에 용접되고 콘크리트에 매입된 스터드와 같은 강재
BTL: 사회 간접시설을 민간 부분이 주도하여 설계 시공한 후 소유권을 공공 부분에 양도하고 시설물 임대료를 통하여 투자금액을 회수해 가는 방식
지하연속벽 공법에서의 벤토나이트액: 굴착 벽면 붕괴 방지, 굴착 토사 분리배출
규산질계 모르타르 방수: 콘크리트 타설 시 혼화제처럼 방수제를 섞어 타설 하는 과정을 거친 후 이를 이용해 지하수나 빗물 등의 침투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방수공법을 말하며, 현장에서는 구체방수라고 한다.
흙막이벽의 계측에 필요한 기기: 하중계, 변형률계, 지중침하계
섬유보강 콘크리트: 강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열파손 메커니즘:유리가 두꺼운 경우 열축적이 크므로 가공 시 발생한 국부적 결함이 있는 곳으로 온도응력이 집중되어 열파손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철근의 이음방법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의한 겹침 이음 외에 용접 이음 또는 연결재를 사용한 기계식 이음이 있다.
용접의 단점: 용접공의 기량 의존도가 높다, 용접부위의 결함검사가 어렵다, 응력집중에 민감하다, 급열 및 급랭으로 인한 변형의 우려가 있다.
용접의 장점: 응력전달이 확실하다, 접합속도가 빠르다, 이음처리와 작업성이 용이하다, 수밀성 및 기밀성이 유리하다
폭렬현상: 콘크리트 부재가 화재로 가열되어 표면부가 소리를 내며 급격히 파열되는 현상
방지대책 1:내화피복을 실시하여 열의 침입을 차단한다
방지대책 2:흡수율이 작고 내화성이 있는 골재를 사용한다.
로이유리: 열적외선을 반사하는 은소재 도막으로 코팅하여 방사율과 열관류율을 낮추고 가시광선투과율을 높인 유리
단열 간봉: 복층유리에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유리 가장자리에 쓰는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 간격재
'기사 시험 기출 문제 > 건축기사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1-1회차 (0) | 2023.07.10 |
---|---|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0-5회차, TEST (0) | 2023.07.09 |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0-1,2회차 (0) | 2023.07.07 |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19-4회차, TEST (0) | 2023.07.06 |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19-1,2 회차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