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가자

자격 시험 준비 블로그

기사 시험 기출 문제/건축기사실기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2-1회차

기사가자 2023. 7. 13. 11:24
반응형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안녕하세요 기사가자입니다. 오늘은 2022년도 1회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요약입니다.

언제나 그렇듯 틀린정보가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과목에 대한 기출문제 요약정리나 전반적인 자격시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이번 2023학년도 2회차 건축기사 실기 시험 7월 22일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해당 과목 및 다른 자격시험을 준비하고 계시는 많은 분들 모두 열심히 공부하신 만큼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22-1

<단면도에서 응력 표시>

버팀대 반력

주동토압

수동토압

 

비례한계점 탄성한계점 상위항복점 하위항복점 변형도경화점 극한강도점 파괴점

탄성영역 소성영역 변형도경화영역 파괴영역

 

크리프 현상: 하중의 증가 없이도 시간경과 후 변형이 증가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소성 변화 현상

 

레디믹스드 콘크리트 품질관리 항목: 슬럼프 시험, 공기량 시험, 압축강도 측정용 공시체 제작

 

강재의 항복비: 강재가 항복에서 파단에 이르기까지를 나타내는 기계적 성질의 지표로서 인장강도에 대한 항복강도의 비

 

<철골에 녹막이칠을 하지 않는 부분>

1.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분

2.     조립에 의해 면맞춤 되는 부분

3.     고장력Bolt 접합부의 마찰면

4.     용접부위 양측 100mm 이내

<강구조 보-기둥 접합부>

스티프너, 전단 플레이트,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

 

LCC: 라이프사이클코스트, 건축물 초기단계에서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과 제비용

 

극한한계상태: 구조물의 전체 또는 부분이 붕괴되어 하중 지지능력을 잃는 상태 전도, 미끄러짐,휨인장파괴, 구조체의 불안정 등

사용성한계상태: 구조물이 붕괴되지는 않았으나 구조기능의 감소로 사용에 부적합한 상태. 과도한 처짐, 과도한 균열, 진동 등

특수한계상태: 화재, 폭발, 테러와 같은 특수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손상 또는 파괴의 한계상태.

 

보강콘크리트블록조의 세로 철근은 기초보 하단에서 위층까지 잇지 않고 40D이상 정착시키고, 피복두께는 2cm 이상으로 한다.

 

할증률: 붉은벽돌 3%, 시멘트벽돌 5%

 

공개경쟁입찰: 입찰참가자를 공모하여 유자격자에게 모두 참가기회를 주는 방식

지명경쟁입찰: 해당 공사에 가장 적격 하다고 인정되는 3~7개 정도의 시공회사를 선정하여 입찰시키는 방식

특명입찰(수의계약): 건축주가 가장 적합한 1개의 시공회사를 선정하여 입찰시키는 방식

 

일체형 거푸집

1.     갱폼

2.     클라이밍 폼

3.     슬라이딩 폼

솟음: 보나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려 올리는 것이나 구부려 올린 크기

동바리: 거푸집의 일부, 소정의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VE>

V: Value, F: Function, C: Cost    V=F/C

1.     고정관념을 제거한 자유로운 발상

2.     기능 중심의 시공방식

3.     사용자 중심의 사고

4.     조직적이고 순서화된 활동

공칭강도: 하중에 대한 구조체나 구조부재 또는 단면의 저항능력을 말하며 강도 감소계수 또는 설계저항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강도

설계강도: 단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 또는 설계저항계수를 곱한 강도

 

WBS: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내용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작업분류체계

OBS: 공사내용을 관리조직에 따라 분류한 것

CBS: 공사내용을 원가발생요소의 관점에서 분류한 것

 

인방보의 양 끝을 벽체의 블록에 200mm 이상 걸치고, 또한 위에서 오는 하중을 전달할 충분한 길이로 한다. 인방보 상부의 벽은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주변의 벽과 강하게 연결되도록 철근이나 블록메시로 보강 연결하거나 인방보 좌우단 상향으로 컨트롤 조인트를 둔다.

 

 

 

728x90
반응형